긴 감지거리와 간단한 설치로, 공사 기간 단축 및 경비 절감
운용 소프트웨를 통한 감지구역(Zone) 세분화 설정으로 현장 최적화 가능
환경적응처리(EDAPT) 알고리즘을 통해 강우, 강풍 등의 오경보 요인을 제거하며, 정확한 침투 위치 탐지(동시 다중 침투 감지 가능)
관리 포인트 최소화 구조로 운용 비용 절감
국방사업 규격을 충족하는 모든 인증 및 시험 성적서 보유
열악한 환경 및 고도의 사양을 요구하는 군, 항만, 변전소 등 다수의 국가중요시설에 설치 운용을 통해 안정성이 검증된 시스템
프로세서당 최대 80km까지 감지 가능하며,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한 감지구역(Zone) 세분화 설정으로 현장 최적화 가능
기존에 설치된 광케이블 활용이 가능하며, 장거리 구축 시 비용 효율적인 운용 가능
현장 전원이 불필요하므로 빠른 시공 및 비용 절감
EMI, 낙뢰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며 폭발성 환경에서 안전함
프로세서당 최대 800m까지 감지 가능하며,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한 감지구역(Zone) 세분화 설정으로 현장 최적화 가능
매설로 인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침입자가 우회할 수 없으므로 탐지성능 극대화 가능
케이블 센서를 통해 전원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인프라 비용 절감
초목, 비,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탐지 위치 정확도 높음(1m이내)
정전용량(capacitive)과 저항(resistive) 변화 구분으로 모든 날씨 조건에서 높은 탐지율과 초저 오경보율 달성
노출된 와이어는 침입시도 억제 효과, 보이지 않는 수직 감지 필드는 침입 시 즉각 경보 발생
높이와 범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울타리·벽·옥상 등 다양한 환경에 유연하게 설치 가능
미국원자력규제위원회(USNRC) PIDS 요건 충족
단일 하드웨어에 다양한 센서를 통합해 침입 유형별로 정밀하고 다각적인 감지 가능
AI 기반의 센서 융합 엔진(Sensor Fusion Engine)이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탐지 정확도 극대화
펜스, 벽면, 기둥, 옥상 등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 가능하며, 신규 및 기존 시설 모두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
PoE In/Out 방식으로 장비 연결 간소화, 시공 시간 절감
외곽 울타리에 설치하여 침입자의 접근과 울타리 절단, 월책 등 침입 시도 감지
송전탑, 송신탑, 교각 등 타워 구조물에 설치하여 사람의 접근 및 구조물의 진동 등 이상 신호 감지
기계 설비에 설치하여 비 인가자의 접근 제한, 산업재해로부터 인명 및 재산 보호
풍력 발전기, 등대 등 무인 시설에 설치하여 사람의 접근 및 구조물의 진동 등 이상 신호 감지
하역장 도크 상단에 설치하여 차량의 접근과 사람의 출입, 문 개폐 감지
체적 및 물리적 감지를 통해 해당 영역의 모든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군사시설, 교정시설, 원자력 발전소 등 높은 보안성을 요구하는 현장에 적합